데이터분석 study/데이터 지표

TIL_24.09.13_리텐션 분석

justdata 2024. 9. 13. 20:39

▶ 리텐션

   - 처음으로 서비스를 이용한 이후 일정 기간이 지난 이후에도 계속해서 이용하고 있는

     유저의 비율

 

    - AARRR 순서에서 RARRA 순서로 Retention이 가장 중요한 앞단계로 Acquisition 단계가

      가장 뒤로 변경되는 버전이 등장.

    

      ○ Acquisition 단계는 마케팅과 광고 비용이 많이 들고 신규 사용자를 확보하는 것보다

        사용자를 유지하는 것이 비용이 더 저렴한 상황이 많다.

 

    ● 리텐션 측정 기준

       리텐션 측정 방법을 선택하는 기준은 시간을 포함해서 리텐션 정의, 
       프로덕트 사용자 주기, 유저의 상태가 중요하다.

 

     

       1. 리텐션 정의

          : 유저가 서비스에서 어떤 행동을 계속하면 좋을까?

 

           - 유입, 구매, 구독, 특정 페이지 방문, 특정 이벤트(hit, event)

 

       2. 프로덕트 사용자 주기

            : 서비스의 산업과 특성에 따라 유저가 프로덕트를 사용하는 주기가 달라짐

서비스 특성 예시
유저가 주기적으로 반복해서 자주 사용하는 서비스
(시즈널리티가 있는 경우)
인스타그램, 배달, 택시 등
유저가 주기적으로 사용하지만 빈도가 높지 않은 서비스 건강, 금융 등
유저가 주기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서비스 여행, 패션 커머스 등

 

     

       3. 유저의 상태

          - New User : 신규유저

          - Active User : 활성유저

          - Inactive User : 비활성 유저

          - Dormant User : 휴면 사용자

          - Resurrected User : 복귀 사용자

 

 

    ● 리텐션 측정 방법

 

       1. N-day Retention

          - 프로덕트 사용 주기

             : 주기적으로 사용하고 일정한 패턴이 반복된거나 시즈널리티가 있는 서비스의 경우

               ex) 배달, 모빌리티, SNS 플랫폼 등

 

         - 시간 기준 : Daili, Weekly, Monthly

       신규 유저 중 첫 사용일로부터 특정 날짜 (N-day)에 재방문한 유저 비율을 측정

 

            - 가장 간단하고 쉬운 측정 방법

            - 시점 : 첫 번째 앱을 출시할 시점, 첫 유입 시점

 

 

       2. Bracket Retention( = Range Retention)

     Bracket Retention = (코호트 유저들 중 특정 구간에 서비스를 이용한 유저 수)/
            (코호트 유저들 중 특정 구간에 처음 서비스를 이용한 유저 수)

 

특정 시점에서의 코호트 그룹을 다양한 범위로 나누어 그룹 간 리텐션을 비교

 

    - N-day 리텐션에서 다양한 시간의 구간으로 유연하게 확장

    - 구간(Bracket)을 1주일 단위, 1개월 단위 등으로 설정하고, 

       시간의 흐릅에 따라 지표가 변화하는 지 파악 가능

 

 

       3. Rolling Retention( = Unbounded Retention)

          - 유저가 주기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서비스에서 주로 사용

            ex) 여행, 패션 커머스 등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유저가 이탈하지 않고 남아있는지에 초점을 맞춰 
이탈한 사용자를 집계해 계산.

 

    - 특정 시점에서 사용자가 서비스를 계속 사용하는지 빈도를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서비스를 처음 이용한 후에 얼마나 오랫동안 이용을 

      지속하는지를 측정

 

    - 시점 : 특정 날짜 이후 혹은 특정 날짜 포함 그 이후

    - 일별, 주별, 월별 또는 사용자 지정 기간 등 다양한 기간에서 측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