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분석 study/데이터 지표

TIL_24.09.11_지표의 종류

justdata 2024. 9. 11. 20:39

▶ 지표의 종류

    ● OKR

       - 조직이나 팀이 특정 기간 동안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설정하는 프레임워크

 

    ● KPI 지표

       - 회사의 주요 성과 지표

       - 회사의 KPI 지표는 비즈니스 상황에 따라 연도별, 분기별 등 계속 바뀝니다.

 

      ○ SMART KPI 특징

         - Specific : 구체적이고 분명하게 정의되어야 한다.

         - Measurable : 측정 가능해야 한다.

         - Achievable : 달성 가능한 숫자여야 한다.

         - Relevant : 다른 지표들과 비슷한 방향으로 움직여야 한다.

         - Time - bound : 정해진 시간 범위가 있어야 한다.

 

    ● 상대 지표 vs 절대 지표

       - 비교군 간 차이를 나타내는 숫자, 비율 등의 정량적 데이터

      ○ 경쟁사 대비 시장 점유율(MS%) : 우리 서비스가 전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율

 

    좋은 지표 vs 나쁜 지표

      ○ 좋은 지표

         - Actionable한 지표 : 지표를 개선하기 위해 어떤 액션을 할 수 있겠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

         - ex) CVR, CTR, LTV, CAC 등

 

      ○ 나쁜 지표(= 허무 지표)

         - 겉보기에는 좋지만 실제로 성과 측정을 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 지표를 말한다. 

         - ex) 좋아요 수, 지뷰 수, 앱 설치 수 등과 같이 누적해서 계속 상승하는 실질적인

                 성과를 측정할 수 없는 지표

 

      단순 누계  <  전년 대비 (YoY), 전월 대비(MoM) 성장률
      앱 설치 수 <  평균 세션 시간, 앱을 지속적으로 접속하는 사용자 수 대비
                           앱을 제거하는 사용자 수 

 

 

    

      ● 북극성 지표(NSM)

        -  전체적으로 비즈니스를 파악하기 앞서서 2가지 질문이 필요하다

        -  계산하기 쉬운 북극성 지표를 목표로 하는 대신 비즈니스에 

           가장 적합한 Metric을 선정

 

        ○ 우리는 어떤 가치를 고객에게 제공하고자 할까?

        ○ 우리 비즈니스를 가장 잘 측정하는 방법과 지표는 무엇일까?

 

       - 이상적인 북극성 지표를 수정하는 것 (아래의 6개 범주 중 어느 것에

         중점을 둘 것인지 결정하는 것)은 비즈니스 모델 및 프로덕트의 성장과

         사용 방식에 크게 좌우된다.

1. Revenue (ex. ARR, GMV)
   - 발생하는 매출
2. Customer growth(ex. 유료 사용자, 시장 점유율)
   - 지불하는 사용자 수
3. Consumption growth (ex.메시지 전송, 예약된 숙박)
   - 단순히 사이트를 방문하는 것 이상의 서비스의 이용 강도
4. Engagement growth(ex. MAU, DAU)
   - 단순히 서비스에서 활동하는 사용자의 수
5. Growth efficiency(ex. LTV, CAC, Gross margin)
   - 지출 대비 수익 창출의 효율성
6. User experience(ex. NPS)
  - 서비스에 대해 고객의 경험이 얼마나 즐겁고 편리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