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표 프레임 워크
- 프레임워크 중심의 지표 관리 : 지표 중심으로 현재 서비스의 상황을 판단
● 서비스 흐름에 따라 퍼널과 퍼널에 맞는 지표를 정의하고 해당 지표를
개선하기 Action을 수립
● 그로스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지표 프레임 워크는 AARRR이다.
GAME, HEART 등 다양한 지표 프레임 워크
● 회사의 현재 상황에 따라 어떤 프레임 워크를 선택할지를 결정
1) HEART 프레임 워크의 5단계 프로세스
● 행복(Happiness) : 사용자는 얼마나 행복합니까?
- 앱스토어 평점, NPS
● 참여도(Engagement) : 사용자가 단기적으로 얼마나 참여하나?
- 구매 전환율, 유저당 주문 금액
● 채택(Adoption) : 얼마나 많은 관심을 가진 유저가 우리 서비스를 사용해 보았나?
- 앱 다운로드 유저 수
● 유지(Retention) : 얼마나 많은 사용자를 장기적으로 유지하나?
- 이탈률
● 작업 성공(Task success) : 사용자가 가장 가치 있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허용하는데 얼마나 성공했나?
- 주문 완료 소요시간
2) AARRR 분석 프레임 워크
1. Acquisition (유입) : 새로운 고객을 획득하는 단계
2. Activation(활성화) : 새로운 고객을 활성화시켜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단계
3. Retention(유지) : 고객을 유지하는 단계
4. Revenue(수익) : 고객으로부터 수익을 창출하는 단계
5. Referral(추천) : 고객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추천하는 단계
● 특징
- 트래커를 어디에 다느나에 따라 다르다.
- AARRR 순서는 회사의 현재 비즈니스 상황과 규모에 따라 다르다.
- AARRR의 목표는 서비스의 고객을 첫 번째 단계에서 그 다음 단계로
전환시키는 것이고 어떤 단계에서 이탈하는지 체크한다.
- 각 단계별 지표에 대한 명확한 정의와 목표를 설정
- 해당 지표의 결과를 바탕으로 개선할 부분을 파악, Action을 수립
* 변형 ver. RARRA : Retention(유지) → Acquisition(유입)이 마지막 단계
*** 기간별 증감률 지표
지표 | 지표 정의 |
YTD(Year To Date) | 연초 대비 증감률 |
YoY(Year on Year) | 전 년 대비 증감률 |
QoQ(Quarter on Quarter) | 전 분기 대비 증감률 |
MoM(Month on Month) | 전 월 대비 증감률 |
WoW(Week on Week) | 전 주 대비 증감률 |
'데이터분석 study > 데이터 지표'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_24.09.13_리텐션 분석 (0) | 2024.09.13 |
---|---|
TIL_24.09.12_Referral, Revenue (0) | 2024.09.12 |
TIL_24.09.11_지표의 종류 (0) | 2024.09.11 |
TIL_24.09.06_ Activation, Retention (0) | 2024.09.06 |
TIL_24.09.02_데이터 분석과 지표 1 (0) | 2024.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