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분석 study/데이터 지표

TIL_24.09.12_Referral, Revenue

justdata 2024. 9. 12. 20:56

▶ Referral

우리 서비스의 유저가 지인들에게 추천할만큼 우리의 제품을 좋아할까?

 

   - 유저가 친구 중 1명 이상과 공유할 정도로 우리 서비스를 좋아하고 있을까?

   - 해당 단계는 UX 디자인팀 혹은 UX Researcher와 협업할 경우 많이 활용됨

 

    ● 주요 지표

NPS(Net Promoter Score), SNS 채널별 공유수, 바이럴 계수, 앱스토어 평점,
리뷰, 추천 코드 사용률, 추천 가입 수

 

      NPS(Net Promoter Score, 순수 고객 추천 지수)

         - 기업이 고객 만족도와 충성도를 평가하는 데 사용됨

         - 서비스가 시장에 잘 정착했는지, 앞으로 성장할 수 있을지를 판단

 

NPS = 추천 그룹 비율%(Promoters) - 비추천 그룹 비율%(Detractors)
         = (추천 그룹 수 - 비추천 그룹 수) / 전체 응답자 수

 

         - 3가지 그룹으로 분류

          ■ Detractor(비추천 그룹) : 0~6점

          ■ Passive(중립 그룹) : 7~8점

          ■ Promoter(추천 그룹) : 9~10점

 

         * 업계별 평균 NPS 지수는 일반적으로 20이상만 되어도 좋은 점수라고 판단

 

      

      ○ 바이럴 계수(K-factor)

         - 우리 서비스가 얼마나 바이럴이 잘 되고 있는지를 표현

         - 기존 고객을 통해 신규 고객이 얼마나 추가되었는 지를 나타내는 지표

 

바이럴 계수 = 신규 고객 수 / 기존 고객 수

 

 

▶ Revenue

유저가 우리 서비스에 돈을 쓰고 돈을 벌고 있을까?

 

 - 비즈니스의 성패를 가르는 가장 중요한 수익화 단계

 

주요 지표 설명
ARPU Average Revenue Per User(인당 평균 매출)
ARPPU Average Revenue Per Paying User(결제 유저 인당 평균 매출)
LTV Lifettime Value(고객 생애 가치)
LTR Lifetime Revenue(고객 생애 매출)
구매 유저 비율 유료 구매 유저의 비율

 

  

  ● LTV(Customer Lifetime Value)

     - CLV라고도 불리며, 고객 생애 가치를 말한다.

     - 1명의 유저의 예상 수명 기간 동안 회사에 기여할 수 있는 총 매출을 의미

        * LTV > CAC 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

 

LTV
 = (ARPU) / (이탈률)
     = 예상 평균 이용 기간 * ARPDAU
     = ARPU x 재구매율
     * 회사마다 측정하는 방식이 다르다.

 

 

   ● PU(Paid User)

      - 특정 기간 동안 우리 서비스를 유료로 이용한 사용자의 총 유저 수

 

 

   ● ARPU(Average Revenue Per User)

      - 활성 유저당 평균 매출

ARPU
특정 기간 동안 발생한 총 수익 / 특정 기간의 총 활성 사용자(Active User)

 

 

   ● ARPPU(Average Revenue Per  Paying User)

      - 유료 유저 1인당 결제 금액

ARPPU
특정 기간 동안 발생한 총 수익 / 특정 기간의 총 결제 유저(Paid User)

 

 

      ■ ARPU 와 ARPPU의 차이점

 

         - Active User 기준인지 Paid User 기준인지에 따라 측정 기준이 다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