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텍스트 테이블
- SQL, Python에서도 많이 사용하는 데이터 프레임과 비슷하게
행과 열로 이루어짐 (엑셀의 피벗 테이블과 같음)
- 행과 열 바꾸기 [분석탭]에서 활용 가능
- 데이터 형태와 목적에 따라서 long format table
--> wide format table로 전환하기도 하고,
wide format table --> long format table데이터
형태로 전환하기도 한다
1) wide format table
- 옆으로 넓은 형태로 데이터가 쌓임
- 하나의 열에 여러개의 데이터를 나란히 나열하는 형태
- 데이터 분석을 할 경우 많이 사용되는 형태로 표를 비교하거나 그래프 시각화 하기 쉬움
- 상관관계를 분석하거나 각 변수의 분포를 비교할 때 적합
2) long format table
- 아래로 쌓이는 긴 데이터 셋
- 특징은 한 개의 특성을 나타내는 열을 가진 여러개의 행
- 시간에 따른 변화와 카테고리 간 비교를 시각화하기에 적합
- 컴퓨터와 태블로가 선호하는 형태
▶ 계산과 필터의 작동 순서
- 계산과 필터의 태블로 작업 순서(쿼리 파이프 라인)
- 필터를 추가할 때 해당 필터가 항상 작업 순서에 따라 설정된 순서대로 실행
▶ 필터 활용법
- Top N필터와 차원 필터
- 만약 지역별 필터(차원 필터)와 고객별 상위 매출 Top N 선택하려고 한다.
- Top N 필터는 차원 필터보다 위에서 먼저 작동되기 때문에
- 지역별 필터(차원 필터)가 적용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
- 이 때 컨텍스트 필터를 활용해 해결 , 상위 필터, 집합, Fixed식과 차원 필터의 문제들이
발생하는 경우, 컨텍스트 필터를 활용해서 작동 순서를 바꿀 수 있다.
● 작동 원리 우선 순위 : 컨텍스트 필터 > Top N > 차원 필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