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분석 study/Python

TIL_24.07.31_ ord(),chr(),isalpha(),isdigit(),isupper()

justdata 2024. 7. 31. 10:28

아침에 코딩테스트 문제 풀이를 하면서

다른 분들 풀이를 찾다가 모르는 함수들이 많이 나와서

정리해본다.

 

● ord() 함수

 

    - ord란 ordinal position 의 약자로 문자의 순서 위치값을 의미

    - 10진수 유니코드 값으로 변환해준다.

    - 컴퓨터에 저장하여 처리되는 데이터들은 2진수 형태로 정수화 되는데

      문자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유니코드 또는 아스키코드가 자주 사용된다고 한다.

 

ord(A) # 65 출력

 

 

● chr() 함수

 

   - chracter의 약자로, 정수값을 유니코드 문자로 변환한다.

 

char(65) # 대문자 'A' 출력

 

출처: https://realzzu.tistory.com/102

 

[Python] ord(), chr() 함수

ord() 함수와 chr() 함수는 서로 반대의 기능을 하는 함수이다. ord() 함수 ord란 ordinal position의 약자로, 문자의 순서 위치 값을 의미한다. 10진수 유니코드(Unicode)로 값을 변환해준다. [ 문자 -> 정수 ] o

realzzu.tistory.com

 

isalpha() 함수

 

   - 문자열의 구성이 알파벳인지 확인할 때 사용

   - 문자열의 숫자와 공백이 포함되어 있으면 False를 리턴

 

 isdigit() 함수

  

   - 문자열의 구성이 모두 숫자인지 확인하는 메소드

   - 이 메소드의 리턴 값도 boolean 형태

 

isupper() 함수

   

   - 문자열이 대문자인지 확인

   - 이 메소드의 리턴 값도 boolean 형태

 

 islower() 함수

 

   - 문자열이 소문자인지 확인

   - 이 메소드의 리턴값도 boolean 형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