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분석 study/Python

TIL(Today I Learned) 24.06.26

justdata 2024. 6. 26. 23:23

파이썬 문법  - 기초(기본만 익히고, 찾아가며 해보자)

 

 - 파이썬은 무료/오픈소스로 운영되고 커뮤니티가 크기 때문에 자연어처리, 머신러닝 등

   직접 구현하기 어려운 기능들도 다른 개발자의 라이브러리를 이용해 쉽게 코드 작성 가능.

 

  • 변수 선언과 자료형 
    • 새 변수를 만들 대는 변수이름 = 값 의 형태로 쓴다. 출력은 print() 를 쓴다
a = 3        # 3을 a에 넣는다.
print(a)
b = a        # a에 들어 있는 값인 3을 b에 넣는다.
print(b)
a = 5        # a에 5라는 새로운 값을 넣는다.
print(a, b)  # 5 3

 

  • 숫자 자료형 
  •  ***자료형 : 프로그래밍을 할 때 쓰이는 숫자, 문자열 등 자료 형태로 사용하는 모든 것
    • 숫자간에는 사칙연산 가능, 몫과 나머지도 구할 수 있다.
a = 7
b = 2

a+b   # 9 
a-b   # 5
a*b   # 14
a/b   # 3.5

a+3*b         # 13 (여러 연산을 한 줄에 할 경우 사칙연산의 순서대로!)
(a+3)*b       # 20 (소괄호를 이용해서 먼저 계산할 부분을 표시해줄 수 있어요!)


print(c ** d) # c를 d번 곱한 것. c^d
print(c // d) # c를 d로 나눈 몫.
print(c % d)  # c를 d로 나눈 나머지.

 

  • 변수에 저장된 값에 연산을 한 후 다시 그 값을 같은 변수에 저장할 수 있다.
a = 5
a = a + 3 # 5에 3을 더한 값을 다시 a에 저장
print(a)  # 8

a += 3    # 줄여 쓸 수도 있다. 같은 의미!

 

  • Bool 자료형 
    • 특별한 자료형으로 참/ 거짓을 나타내는 불(Boolean) 자료형이 있다.
x = True   # 참
y = False  # 거짓

# 소문자로 쓰면 자료형으로 인식하지 않고 변수명이라 생각해 에러가 납니다~
z = true   # name 'true' is not defined

True = 1   # True/False는 변수명으로 쓸 수 없어요!

 

  • 비교 연산자의 결과로 나타내기 위해 쓰인다.
4 > 2      # True  크다
5 < 1      # False 작다
6 >= 5     # True  크거나 같다
4 <= 4     # True  작거나 같다
3 == 5     # False 같다
4 != 7     # True  같지 않다

 

  • 불 자료형에는 논리연산자를 이용할 수 있다.
a = 4 > 2  # True
not a      # False    NOT 연산자로 참을 거짓으로, 거짓을 참으로 바꿔준다.

a and b    # False    AND 연산자로 모두 참이어야 참을 반환한다.
a or b     # True     OR 연산자로 둘 중 하나만 참이면 참이다.